휴대폰성지는 잊어 버려 :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10가지 이유

이달 초 ‘핸드폰 산업 철수를 선언한 LG전자가 해외 사업장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브라질 공장에서 직원들이 산업 철수에 따라 사측에서 제시한 보상안에 반발해 파업에 돌입하면서다. LG전자는 핸드폰 산업을 담당했던 국내 MC산업본부 직원들의 채용은 모두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국내에 둔 생산라인 직원들의 고용 문제는 가볍게 처리하기 힘겨울 전망이다.

17일 외신의 말을 빌리면 LG전자 브라질 타우바테 공장의 생산 직원들이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LG전자가 지난 6일 스마트폰 사업을 마친다고 발표하며 일자리를 잃게 될 위기에 몰리자 집단 행동에 나선 것이다. 이에 주순해 타우바테 공장 내 핸드폰 생산 라인과 PC, 모니터 등의 생산도 멈춘 상태다.

LG전자와 협상을 진행 중인 타우바테 금속작업자연합은 “작업자들이 사측이 제시한 보상금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핸드폰 사업 철수로 타우바테 공장에선 9개월 후 생산이 중단되고, 컴퓨터와 모니터는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마나우스에 있는 공장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에 주순해 490명에 달하는 생산직 직원들은 일자리를 잃게 될 위기에 처했다.

LG전자 직원은 “브라질 타우바테 공장에서 휴대폰 사업 종료를 앞두고 회사와 직원 간 보상에 대한 의견차가 있는 상태이며, 원만하게 처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image

허나 수백 명의 직원들이 집단 행동에 나선 만큼 해결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이하게 이번 파업이 LG전자의 또 다른 스마트폰 공장이 있는 베트남, 중국까지 확대될 우려도 있다.

일각에선 이같은 해외 공장 직원들의 파업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LG전자는 지난 1일 스마트폰 산업 철수를 확정해 발표하면서 MC사업본부의 직원들은 타 산업부·계열사 등으로 전환 배치를 통해 채용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작년 4분기 기준 MC사업본부의 인력은 약 3,500명으로, 이중 50%가 공부·개발 관련 인력이다. 이에 맞게 그룹 안에서 전화 배치는 어렵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반면 해외 인력은 상황이 다르다. LG전자는 현재 베트남, 브라질, 중국 등에 테블릿 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설비가 베트남에 집중돼 있다. 이들 공장은 용도를 변경하거나 생산라인 일부를 매각해야 한다. 해당 공장에서 일하던 직원들과 완만한 수준의 보상안이 합의되지 않으면 공짜폰 갈등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업계 직원은 “LG전자가 중국 공장 직원들과의 보상 합의는 거의 끝낸 상황”라고 전했다. 베트남의 경우도 흔히 생산 http://edition.cnn.com/search/?text=휴대폰싸게사는법 라인을 가전 공장 등으로 용도를 변경할 계획이기 때문에 브라질처럼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LG전자는 “브라질 이외의 다른 해외 공장 직원들과도 (보상안 관련) 대화를 진행 중”이라고 밝혀졌습니다.